구글애널리틱스


퇴직금 세금 계산기 좋네요


이번 포스팅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게 된 경우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입니다.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퇴직금을 받게 되는데, 정작 퇴직금을 받으면 예상했던 금액보다 조금 때로는 훨씬 낮을 수 있습니다. 바로 퇴직금에도 세금이 붙기 때문인데요. 그렇기 때문에 퇴직금을 계산할때는 이 세금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직금 세금 계산기 프로그램 및 이용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.


먼저 퇴직금 세금 계산기는 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(링크). 해당 화면에서 "2019년 귀속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.xlsx" 파일을 다운받으면 됩니다. 이 파일은 엑셀 파일이므로, 이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셀(Microsoft Excel)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


파일을 열면 가장 먼저 "화면설명" 시트를 읽어보시길 바랍니다. 여기에서는 퇴직금 세금 계산에 대한 규정 및 계산식이 소개되어 있습니다.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, 퇴직금 세금 계산 방법은 "공제 후 환산급여 x 기본세율 /12 x 근속연수" 로 정리가 됩니다. 

자, 이제 실제 계산을 해봅시다. "기본사항 등 입력" 시트에서 필요 부분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. 단순히 퇴직금 세금 계산이 목적이라면 빨간색으로 ※필수입력 으로 표게된 내용만 입력해주면 됩니다. 예를들어 저는 위와 같이 입력해 보았습니다. 기산일은 '01년 1월, 그리고 퇴사일 및 지급일은 '19년말로 하였고 (19년 근속), 퇴직금은 1억원으로 설정해 보았습니다.


자, 이렇게 설정 후 "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" 시트로 이동하면 퇴직금 세금 계산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계산과정은 조금 복잡하지만,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조건에서는 소득세 289만원, 그리고 지방소득세 29만원, 합계 318만원 정도의 세금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상세 계산방법에 대한 내용은 개정규정에 따른 계산방법의 내용을 확인하면 됩니다.